본문 바로가기

The World/Knowledge

헷갈리고 알쏭달쏭, 바른말 표기법 모음 I [우리말 바로 알기]

반응형

 

자주 만나는 헷갈리는 우리말 표현들 모음(Last update 2013/12/13)


글을 쓰다 보면, 본의 아니게 어떻게 표기해야 되는지 헷갈리는 상황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특히 입사지원서나 자기소개서, 편지나 메일을 쓸 때나 블로그에 글을 포스팅할 때 주의 해야 합니다.



오타나 잘못 쓴 표현들이 섞여 있으면, 글 자체의 신뢰성 또는 호소력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대한 신경을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기억나는 것들을 정리해두고, 지속적으로 추가 또는 수정을 해 나갈 생각입니다.



[~ㅓ, ~ㅔ, ~ㅐ, ~ㅖ]


1. 헷갈리다, 헛갈리다


'헷갈리다' 가 맞는 표현이며, '헛갈리다' 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글 제목에도 나오네요. 햇갈린다헛갈린다 아니죠~ '헷갈리시면' 안 됩니다. ^_^.


2. 결제(決濟), 결재(決裁)


결제는 "일을 처리하여 끝을 내다"는 뜻으로, 주로 금전의 거래에 쓰입니다. 영어로는 payment 또는 settlement 가 되겠네요. 예문으로 기억하려면, "대금을 결제하다". 이렇게 쓰입니다. 결재는 "상관이 부하의 안건을 허가 또는 승인하다" 는 뜻으로 문서의 승인에 대한 표현입니다. 영어로는 approval 에 해당합니다. "문서를 결재하다" 로 기억.


3. 경신, 갱신


두 단어가 똑같이 한자어 更新 로 쓰이는데, 의미에 따라 발음이 '경' 또는 '갱' 으로 읽혀집니다. 한자의 음과 훈으로 기억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고칠 경' 과 '다시 갱' 입니다. 즉 '기록 경신' 으로 쓰이거나 '서류 갱신' 으로 쓰입니다.

 

4. 왠지, 웬지


'왠지'는 '왜인지' 로 쓸 수 있으며, "왠지 두렵다" 와 같이 쓰입니다. 이 경우에 '웬지'를 쓰게 되면 잘못 쓰인 것이겠네요. '웬'은 뒤에 명사(명사구)가 오며 '어떻게 생긴', '어떻게 된' 의 뜻입니다. 주로 "웬 떡이냐", "웬 녀석이..." 처럼 쓰입니다. 특히 감탄사 '웬걸' 도 기억해 두면 좋겠습니다.


5. 메기다, 매기다


개인적으로 환장할 만큼 헷갈리는 표현입니다. 다름 아닌 사투리 때문인데요, '먹이다' 라는 의미로 쓰일 때의 사투리로, 경상도 지방에서는 '매기다' 라고 쓰지만, 전라도 지방에서는 '메기다' 라고도 씁니다. 일단 사투리에서 벗어나서 표준어로 쓰이는 경우만 잘 기억해 두기로 하지요.


'매기다'는, "값이나 등수를 매기다" 로 쓰며 "값을 지정하거나 적어 놓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메기다' 는, "화살을 메기다" 또는 "톱을 메기다", "앞소리를 메기다" 와 같이 쓰입니다.


6. 개발, 계발


"재능이나 생각을 일깨워 주는" 의미에서는 '계발' 을 쓰며, "자원 등을 유용하게 만들거나 발전시키는" 의미에서는 '개발'을 씁니다. 예를 들면 '계발'은, "자기 계발에 힘쓰다". '개발'은 "자원을 개발하다" 처럼 쓰이고, 컴퓨터 프로그래머는 "개발을 하는 사람" 인 것이겠네요.


7. '안되', '안 되', '안돼', '안 돼'


'돼'는 '되어'를 줄여서 쓰이는 것이므로, "시간 돼?", "말도 안 돼" 처럼 쓰입니다. '되' 는 띄어쓰기에도 주의해야 되는데, "잘되는 놈", "말이 안 되는" 와 같이 쓰입니다. 특히 '안되다', '잘되다' 는 그 자체로 동사나 형용사로 쓰이는 경우 때문에 많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장사가 안돼",  "얼굴이 안되기는 마찬가지"와 같이 잘 구분해서 써야합니다.


부정의 뜻인 '안'을 띄어서 쓰는 경우는 "한 줌도 안 되잖아", "먹으면 안 되는", "시간이 안 돼서" 처럼 씁니다. '안' 대신에 긍정적인 의미의 '잘' 을 쓰는 "오늘은 일이 잘 되는군",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가 되겠습니다.


8. 헹가래 행가레 행가래


(말의 유래) '가래' 라고 하는 농기구(흙 등을 파서 던지는 기구)를 써서 '가래질'을 한다고 합니다. 여러 명이 합심을 해서 일을 해야 하는데, 미리 장단을 맞춰 보는 것을 '헹가래' 라고 했었고, 한 사람을 여러 명이 번쩍 들어서 오르내림을 반복하는 일(축하 또는 벌을 줄 때)과 그 동작이 비슷하여 이름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9. 된장찌개 된장찌게


음식의 한 종류인 갖은 양념을 넣어서 끓이는 '찌개'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장찌개' 도 마찬가지입니다.


10. 금세 금새


지금 바로, '금시에' 가 줄어든 말입니다. "금세 바로잡았네" 와 같이 쓰입니다.

 


[띄어쓰기]

 

1. '한 번 더' 가 맞습니다. '한번더' '한번 더'



2. '더 이상'이 맞습니다.


"너희들, 더 이상 나갔다간" 와 같이 쓰입니다. '더이상'



3. '좀 더' 라고 띄어서 써야 합니다.

'좀더



4. '삼백만' 이라고 붙여서 씁니다. 

'삼백 만'


참고로, 한글에서는 만 단위로 띄어서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12억 3456만 7898', '이백오만 삼천백팔십사' 같이 쓰입니다. 단, 계약서 등에서 금액을 적을 경우에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금액부분을 붙여서 써야 합니다.


한글로 숫자를 쓰는 경우에도, '스물아홉' 과 같이, 위의 숫자 표현과 비슷하게 붙여서 씁니다. '스물 아홉'. 당연히 나이를 말할 때는 '스무 살' 과 같이 띄어서 써야겠지요. '스무살'

 


5. '받치다' 는 "어떤 물건 밑에 다른 물건을 대거나 괴다", "화나 먹은 것이 위로 치밀다"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우산을 받치다", "팔을 받쳐서" 와 같이 쓰입니다.


'받히다'는 '부딛히다' 또는 "받음을 당하다" 는 뜻입니다. 따라서 "소에게 받혀", "자동차에 받혀" 와 같이 씁니다.


'바치다'는 "윗사람에게 물건을 드리다", "가진 것을 모두 쓰거나 내놓다" 라는 의미로 "이 목숨 다 바쳐" 와 같이 씁니다.

 


6. '맡다' 는 "담당하거나 차지하다" 또는 "냄새를 느끼다" 의 경우에 씁니다.


'맞다' 의 경우는 "틀림이 없거나 옳다", "(침, 주사로) 치료를 받다", "외부의 힘, 물체 등으로 해를 입거나 몸체에 닿다"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7. '가름' 은, "쪼개거나 나누는 일", "승부나 등수를 정함" 의 뜻으로 쓰입니다. "승부가 가름나다", "남자인지 여자인지 가름이 되지 않는다" 와 같은 쓰임입니다.


'가늠' 은 "어림잡아 헤아림"의 뜻으로 "막연한 가늠으로는 사업에 실패한다" 와 같은 용법이 있습니다. 소총의 '가늠자' 를 생각해도 되겠습니다.


'갈음' 은, "다른 것으로 바꿔서 대신함" 이라는 뜻입니다. 동사로 '갈음하다' 라는 것도 있는데, '대신하다' 라고 바꿔서 써도 됩니다. 예로, "그 분의 선행을 나열하는 것으로 치사를 갈음합니다" 와 같이 쓰인다.



8. '붇다' 는  "부피가 커지거나 수효가 많아지다" 는 뜻으로 "개울물이 붇다", "체중이 붇다", "물에 젖어서 콩이 붇다" 처럼 쓰이고 '~은', '~어서'와 같이 변형되면 "물에 불은 국수는..." 처럼 쓰입니다.


'불다' 는 "바람이 움직이거나 바람을 일으키다" 또는 "연주하다", "자백하다" 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붓다' 는 "액체나 가루 등을 따르다", "불입금, 이자 따위를 일정 기간마다 내다", "살가죽이나 기관이 부풀어 오르다" 의 뜻입니다.



9. '부치다' 는 "편지를 부치다", "논을 부치다", "부채를 부치다", "힘에 부치다" 와 같은 용례가 있습니다.


'붙이다' 는 '붙다'의 사동형으로 "맞닿아 떨어지지 않게 하다" 라는 뜻의 부착하다 라는 의미를 가지거나 또는 "교배하다" 라는 뜻으로 "접붙이다" 와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10. '설거지' 가 맞습니다. 설겆이



11. '깍듯이' 가 맞습니다. 깎듯이



12. '거칠은', '거치른' 은, '거칠다' 라는 형용사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거친' 으로 고쳐서 써야합니다. "거친 들판"이 맞는 표현입니다. 거치른 거칠은 거치른 들판



13.  '녹슨' 이 올바른 표현이고 '녹슬은 기찻길" 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마찬가지로 "날으는, 나르는, 날르는 돈까스" 아닙니다. "나는 돈까스"

 

 

14. '띄다' 는 '뜨이다'의 줄임말로 "눈에 띄다" 와 같이 쓰이며, '띠다'는 "미소를 띠다" 로 씁니다.


'띄우다' 는 '뜨다'의 사동사로 "물속이나 지면에서 뜨게하다"는 뜻으로 "배를 띄우다" 와 같이 씁니다. 미소를 띄우다

 

 

[~이 와 ~히]

 

1. '간간이'는 '이따금', '듬성듬성' 의 뜻으로 쓰입니다. 간간히


2. 부사의 끝음절이 '이' 로만 나는 것들('ㄱ' 으로 끝나고 '~하다'라 붙을 수 있는 파생부사)


  • 깊숙이 깊숙히
  • 촉촉이 촉촉히
  • 축축이 축축히
  • 끔찍이 끔찍히
  • 납작이 납작히
  • 수북이 수북히
  • 삐죽이 삐죽히
  • 나직이 나직히
  • 큼직이 큼직히
  • 빽빽이 빽빽히
  • 멀찍이 멀찍히


[~요 와 ~오]

 

정중한 명령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십시오' 의 용법은 "하시오", "하십시오", "가십시오" 라고 씁니다. 이 경우에는 소리 나는 대로 쓰지 않고 원형을 그대로 써서 '오' 로 끝나야 합니다.


해요체를 만드는 보조사 '요' 를 쓸 경우에는, "하셔요(하시어요)", "가셔요(가시어요)" 로 쓸 수 있습니다.

 



[~ㄹ는지와 ~른지, ~런지]

 

"비가 올는지" 가 맞는 표기입니다. 올른지 올런지



[그외]


'가르치다'는 "깨닫거나 익히게 하다" 라는 뜻이며 '가리키다' 는 "손가락질하다" 는 뜻입니다.



'여태껏'은 부사 '여태' 를 강조한 말입니다. 어지껏



형용사 '가깝다'의 활용형인 '가까워' 가 맞습니다. 가까와

(돕다→도와서, 곱다→고와서 경우와 잘 구분하자. 어간의 끝소리 'ㅂ' 이 '오' 로 바뀌고 '아' 와 만난다)



일반적인 현대 국어에서 '늘이다' 는 자동사 '늘다'의 사동형으로 "길이를 길게 하다"로, '늘리다' 는 "수효나 부피를 크게 하다"로 구분하고 있으나 역사적으로는 별 다른 구분 없이 쓰였다고 합니다. 즉, 맞춤법 규정에 의한 편의적 구분이라는 뜻이라는 것이 정설인듯 합니다.


각 방의 윗 면을 '천장' 이라고 하며, 옛 건축 기법상으로 '천정'과 공존하였고 각각 구분되어 썼으나, 현대어에서는 '천장'으로 순화하여 쓰도록 권장합니다.




[외래어, 외국어]

 

외래어표기법에는 자주 쓰이는 외래어들이 있으나, 현대에는 외국어가 빠른 속도로 외래어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여서, 표준 용례를 찾아보기가 힘들거나 현실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모든 외국어를 외래어표기법에서 다루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겠지요.


예를 들어 'Beatles'는 외래어표기법에는 '비틀스'로 표기되고 있으나, 실제로 요즘에는, 소리 나는대로 '비틀즈' 라고 쓰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Explorer 의 경우는 소리 나는대로 '익스플로러' 로 실제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익스프로러' 라고 쓰이기도 합니다.



- Barracuda -


반응형